모듈형 블록체인이란? 차세대 체인의 구조와 전망
블록체인은 탈중앙화, 보안, 확장성이라는 세 가지 핵심 가치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며 발전해왔습니다. 하지만 단일 체인 구조의 한계는 점점 명확해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모듈형 블록체인(Modular Blockchain)**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듈형 블록체인의 개념, 기존 체인과의 차이점, 대표적인 프로젝트, 장단점, 그리고 미래의 발전 방향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모듈형 블록체인이란?
모듈형 블록체인이란 기존의 블록체인 기능을 "레이어 별로 분리"하여 특정 기능만 담당하는 체인들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블록체인 구조입니다.
✅ 기존 모놀리식 블록체인: 하나의 체인이 합의, 실행, 데이터 가용성, 결제까지 모두 담당 ✅ 모듈형 블록체인: 각 기능을 분리하여 독립적인 모듈로 운영
📌 이렇게 나뉜 구조는 기능별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고, 전체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높입니다.
2. 블록체인의 4대 핵심 기능
1️⃣ Execution Layer (실행) – 스마트 계약 실행 및 상태 변경 2️⃣ Settlement Layer (결제) – 거래 검증 및 파이널리티 확보 3️⃣ Consensus Layer (합의) – 블록 생성 및 순서 결정 4️⃣ Data Availability Layer (데이터 가용성) – 거래 데이터 저장 및 접근 보장
모듈형 구조에서는 이 기능들을 서로 다른 체인들이 분산 처리하며, 사용자에게는 더욱 유연한 네트워크 경험을 제공합니다.
3. 모듈형 블록체인의 대표 프로젝트
🟦 Celestia
- 데이터 가용성 전용 체인
- 다른 Execution 레이어와 결합하여 다양한 Rollup 생태계 지원
🟣 EigenLayer
- 리스테이킹 기반의 보안 공유 프로토콜
- 모듈형 구조에서 보안 레이어 역할 강화
🟩 Polygon 2.0 (CDK)
- 모듈형 Rollup 생성을 위한 개발 키트 제공
- zkEVM 기반, 수많은 DApp들이 병렬적으로 연결 가능
🟧 Dymension
- RollApp 중심 모듈형 블록체인 네트워크
-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전용 체인을 통합
4. 모듈형 vs 모놀리식 구조 비교
항목 모놀리식 블록체인 모듈형 블록체인
구조 | 일체형 (All-in-one) | 기능별 분리 (Layered) |
확장성 | 제한적 | 매우 뛰어남 (Rollup 조합) |
유연성 | 낮음 | 높음 (기능 최적화 가능) |
개발 난이도 | 비교적 쉬움 | 복잡함 (레이어 설계 필요) |
예시 | 이더리움, 솔라나 | Celestia, EigenLayer |
📌 모듈형은 다양한 사용자 및 개발자 니즈에 맞춘 맞춤형 체인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있습니다.
5. 모듈형 구조의 장단점
✅ 장점
- 확장성 극대화: 롤업, 샤딩 등과의 결합이 쉬움
- 맞춤형 블록체인 가능: 사용 목적에 따라 각 레이어 선택 가능
- 다양한 체인 생태계와의 연동: Interchain 구조 친화적
❌ 단점
- 구조의 복잡성: 사용자는 레이어 간 차이를 이해해야 함
- 보안 관리의 분산화: 특정 레이어 해킹 시 전체 네트워크 영향 가능
- 초기 학습 곡선: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 새로운 구조에 익숙해져야 함
6. 모듈형 블록체인의 미래와 활용성
✅ 1) Web3 앱 전용 체인 시대
- 특정 앱을 위한 맞춤형 레이어 조합 가능 (ex. 게임, 금융, SNS 등)
✅ 2) Layer 3 개발 가속화
- Rollup 위에 또 다른 모듈을 얹는 구조 → 초고속 체인 구축 가능
✅ 3) 기관 도입 확대
- 기업 맞춤형 프라이빗 체인 + 공공체인 연동 구조로 활용 가능
✅ 4) 비용 최적화
- 필요한 기능만 활용 → 비용 및 속도 측면에서 유리
🚀 모듈형 구조는 '체인의 레고화'를 가능케 하며, 진정한 Web3 인프라 혁신을 이끌 핵심 키워드입니다.